본문 바로가기

음성장애3

음성장애 종류- 신경학적(neurological) 음성장애 신경학적 음성장애란? 신경계 손상과 관련한 음성장애로 하위운동신경원(LMN)의 손상과 상위운동신경원(UMN)의 손상으로 나눌 수 있다. 각 신경계의 손상과 관련하여 장애유형을 구분지을 수 있다. 하위운동신경원(LMN): 성대마비, 공명장애, 근무력증, Guillaine-Barre 증후군 상위운동신경원(UMN): 편측성 상위운동신경원 마비말장애, 경직형 마비말장애, 과소운동형 마비말장애(파킨슨병), 과대운동형 마비말장애(연축성 발성장애, 진전), 운동실조형 마비말장애, 혼합형 마비말장애(ALS,TBI,MS) 성대의 운동성에 따른 신경학적 분류 정상적인 성대는 발성 시에 좌우 성대가 중앙에서 닫히고 난 후 규칙적으로 진동을 하고, 과다기능발성은 성대가 지나치게 세게 닫히거나 지나치게 많이 접촉하여 노력성(s.. 2022. 9. 30.
음성장애(voice disorders) 종류- 기질적 음성장애 기질적(organic) 음성장애란? 기질적 음성장애란 후두의 감염질환 및 음성산출기관의 병리와 구조적 기질적 변화로 및 병리와 관련된 음성장애이다. 기질적 음성장애의 종류를 알아보고자 한다. 기질적 음성장애 종류 1) 성대구증(sulcus vocalis): 내전 시 성문이 둥근 모양으며 기식적이고 목쉰 음성이 나타난다. 선천적 원인 혹은 후천적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음성남용과 후인두 역류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다. 2) 접촉성 궤양: 오랜 발성 후 음성이 악화 및 성대피로로 인하여 후두 부위에 통증이 발생한다. 저음산출로 지나친 피열연골이 접촉된다. 또한 후인두 역류로 발생할 수 있다. 3) 후두암(cancer)- 후두암(성문상부암, 성문암, 성문하부암)이 있으며 흡연 및 자극 받은 부위의 반복적 .. 2022. 9. 29.
음성장애 분류- 기능적 음성장애를 알아봅시다. 음성장애의 분류 기준 Boone은 음성장애의 원인을 크게 기능적, 기질적, 신경학적 3가지 원인으로 구분하고 있다. 오늘 알아볼 첫번째는 기능적(functional) 음성장애로, 음성을 오·남용하거나 심리적 문제 등과 관련한 음성장애를 뜻한다. 기능적 음성장애의 원인으로는 첫째, 음성 오남용이 있다. 둘째, 잘못된 음성 산출 방법으로 산출되는 근육들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셋째, 심리적인 문제가 원인이 될 수 있다. 넷째, 기능적 문제로 성대 병변이 생기기도 한다. 다섯째, 신경학적 문제로 인한 보상작용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기능적 음성장애의 다양한 원인 1) 가성: 음도가 높고 기식석 음질이다. 무변성, 변성 발성장애가 있다. 2) 기능적 실성증: 기질, 신경학적 원인이 없으나 속삭이는 음성으로 말하.. 2022. 9. 28.